본문 바로가기

연기론2

마이클 케인의 연기수업, 대사와 대화, 배우의 스타성 대사는 대화하기 위해 존재한다. 절대 다른 사람에게 대사를 읽게 하지 않고 그렇지만 대화하는 방식으로써 다른 사람의 말에 대한 논리적인 응답으로써, 주어진 상황 속에서 논리적인 반응으로써 연습을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한 줄 한 줄 가리면서 외우지 않는데 그러다 보면 자칫 단순한 몸짓이나 일방적인 연설이 되기 십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근데 나는 한 줄씩 외우고 있었는데 이 글을 읽고 나니 그동안 잘못된 방법으로 하고 있었구나 생각이 들었다. 어쩐지 로봇처럼 말하게 된 이유가 있었구나라고 뒤늦게 알게 되어 다행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그런 대사의 당위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정확하고 설득력 있게 대사를 할 수 없었던 이유 그리고 생각을 나와 말하고 있는 대사와 연결 짓지 못했던 점 내사 사고해서 말한 게 아.. 예술 산책하기 2023. 4. 2.
어서와 영화연기 연출은 처음이지? 들어가며.. 현대에는 연극 혹은 영화에서 연출이 중심주의적인 예술이념이 가장 일반적이라고 하며 이것은 19세기 후반부터의 자연과학의 발달에 따르는 무대 구성요소에 복잡화와 분업화와도 깊은 관계가 있다. 영화 속 ending credit을 보면 수많은 이름들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연출자는 그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며 수많은 결정을 하게 되며 그중에 당연 배우와의 소통이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초보 연출자들은 배우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언어적 비언어적인 형태를 모두 활용해서 소통하지만 어려움을 겪는 것이 현실이며 왜 이런 일이 발생활까에 대해서 고민하던 찰나 왜 그런지 탐구해 보자 1. 뜬 구름 잡는 연출 감독과 배우의 주된 소통방식으로 대화를 합니다. 과연 그 말을 100% 배우들이 이해했을까? 언어.. 예술 산책하기 2023. 3. 31.